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9

가구 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PIR) 분석 일지 [2] 채상욱의 를 읽고 있다. 이 책의 49page에서 2022년 국토부 장관은 아래 같이 말했다고 한다."서울의 경우 (가구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이) 18배에 이르러 금융 위기 직전 8배보다 높고, 금융위기 직후 10배보다도 지나치게 높다"위 가구소득(세전 기준) 대비 주택가격의 비율을 PIR이라고 한다. 즉, PIR = 주택가격/가구소득 이다. 예컨대, 가구소득 1억 5천만원, 주택가격이 15억인 경우에 PIR은 10이 나온다. 아래 그래프를 보자. 아래는 전체 소득분위, 전체 주택 분위에 대한 서울 주택가격의 PIR 변화 추이를 나타낸다. 2021, 2022년에 PIR이 25가 넘으며 매우 높은 수치를 기록하다가 2023년도를 기점으로 2010년도 수준을 보이며 상당히 낮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2024. 6. 8.
강남구 부동산 분석 일지 [1] 강승우의 를 읽고 있다. 2010년대 후반, 2020년 초 부동산 가격이 폭등한 이후 나 역시 부동산 투자에 관심이 많아졌다. 현재 부동산 가격은 고점보다는 약간 낮아졌지만, 금리 인하가 기대되고 있는 시점에 부동산 가격은 다시 상승할 것인지, 아니면 최근 가계부채율이 높아지고 있다고 하던데 높은 대출 금리를 간신히 버티고 있던 주택 보유자들이 물량을 던질지 예측하기 어려운 시점에 있는 것 같다.   강승수 저자는 한국 부동산 역사를 볼 때, 매매지수와 전세지수의 간격이 클 때가 집 값의 하락 신호(버블의 끝)라고 설명한다. 이 저자는 매매지수와 전세지수의 이격이 매우 클 때 투자용 부동산은 정리하라고 권장한다. 아래 최근 5년 간 강남3구 (강남/송파/서초)의 매매가격지수와 전세가격지수의 의 변동 추이.. 2024. 6. 8.
전면적 지시 이론 19세기 이전의 근세 철학이 주로 인식론적인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져왔다면, 19세기 말부터 철학은 논리-언어적인 것에 주로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 이유는 짐작컨대, 자연과학, 사회과학 등의 분야가 철학에서 분리됨으로써 철학의 정체성이 옅어졌기에 철학자들은 그들이 집중할 탐구 대상에 대해 재설정할 필요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철학자들에게 언어에 대한 탐구는 아래 이유들 때문에 중요했다. 1. 철학의 작업은 언어를 매개로 한다. 학문으로서의 철학은 공적으로 토론되거나 분석될 수 있는 종류의 사유여야 한다. 이러한 사유는 언어를 매개로 한다. 따라서 언어 자체에 대해 탐구하고 이해하는 것은 철학 자체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2. 철학적 작업의 많은 부분은 이미 언어에 대한 탐구이다. 플라톤의 대화편에.. 2023. 12. 29.
술어 논리 (2) 3. 일상 언어 문장을 술어논리 형식언어 문장으로 번역하기 ​ 자연언어는 소위 일상언어를 가리키며, 논리학에서 인공언어는 형식언어를 가리킨다. 우리는 이 장에서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에서 살펴보았던 4가지 형식의 범주 문장을 술어논리의 인공언어를 동원하여 수학적 기호로 표현할 것이다. ​ A: (∀x)(Sx ⇒ Px) ≡~(∃x)(Sx&~Px) 모든 x에 대하여, S이면 P이다. ≡ S이면서 P가 아닌 x는 없다. E:(∀x)(Sx ⇒ ~Px) ≡~(∃x)(Sx&Px) 모든 x에 대하여, x가 S이면 P가 아니다. ≡ S이면서 P인 x는 없다. I: (∃x)(Sx&Px) S이면서 P인 x가 적어도 하나 있다. O: (∃x)(Sx&~Px) S이면서 P가 아닌 x가 적어도 하나 있다. ​ 이항술어를 사용할 때.. 2023.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