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Metaphysics7

직설법적 조건문은 실질 조건문인가? * 일러두기: 이번 글에서 나는 직설법적 조건문에 대한 약간의 논의를 간략히 정리해보려고 한다. 여기서 나는 편의상 '직설법적 조건문'을 그냥 '조건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조건문은 직설법적 조건문과 반사실적 조건문(가정법적 조건문)으로 구분되어질 수 있다. 전자는 가령 " 만약 내가 사법 시험에 합격한다면, 나는 변호사가 될 것이다"와 같이, 전건이 참인 경우에, 후건을 받아들일 수 있는가에 대한 인식적인 문제를 포함한다. 반면에, 후자는 가령 "만약 내가 사법 시험에 합격했더라면, 나는 변호사가 되었을 것이다"와 같이, 전건이 사실에 반하는 경우에 있었을 법한 사건에 대한 문장이고, 그래서 형이상학적인 문제를 지닌 조건문이다. 에징턴에 따르면, 조건문을 이해한다는 것은 (1) 그 문장이 참이 되는 .. 2020. 7. 1.
(D.Lewis) 반사실 의존과 시간의 화살 오늘 나는 내 노트 위에 글을 쓰고 있다. 오늘이 달랐다고 가정해보자. 내가 지금과는 다른 글을 쓰고 있었다고 가정해보자. 그러면, 분명히 내일도 달랐을 것이다. 가령, 내 노트에는 다른 글이 써 있을 것이다. 어제도 달랐을까? 만약 그렇다면, 어떻게 달랐을까? 당신이 이 물음에 답하려 한다면, 아마 당신은 무언가를 떠올릴 것이다. 하지만 나는 당신이 어제가 분명히 어땠을지에 대해 말할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미래 상황은 현재 상황에 반사실적으로 의존한다. 만약 현재가 달랐더라면, 미래도 다르다. 유사하게, 현재 상황은 과거 상황에 반사실적으로 의존한다. 일반적으로, 나중 상황은 이전 상황에 반사실적으로 의존한다. 하지만 그 반대는 불가능하다. 우리는 어떻게 현재가 다소 달랐더라면 과거가 다른지에 .. 2020. 5. 19.
양상 실재론 관련 논문 정리 (1) 일러두기: [* ...]는 정리자가 본문 내용을 참고하되 그 내용을 정리자 편의에 맞게 수정하여 쓴 것. 이 정리문에서는 본문의 내용을 (따로 표기없이) 그대로 옮겨온 부분이 많고, 필요시 정리자 편의에 맞게 수정한 부분들이 많은데, 그 이유는 이 정리문의 목적 때문이다. 이 글은 가능한 한 정리자가 이 글만 보고서 본문 내용을 기억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쓰여졌다. 2. 루이스의 진짜 가능세계 실재론 2.1 [GR] 진짜 가능세계 실재론 (참된 양상 실재론) 가능 세계는 우리 현실 세계처럼 피와 살을 가진 세계이다. 이 세계는 우리 세계와 존재론적으로 동등한 지위를 갖는다. 2.2 [ER] 대용 가능세계 실재론 - 가능세계는 문장들의 집합이다 (카르납, 힌티카) -가능세계는 명제들의 집합이다 (.. 2020. 5. 16.
D. 루이스, '반사실 조건문과 비교 가능성' 지난 십 수년 동안 양상성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가능 세계 의미론을 통해 증진되어 왔다. 이 프로젝트는 양상 문장이 어떤 가능 세계에서 참인 조건인지를 체계적으로 명시함으로써 양상 언어를 분석하는 것을 가지고 진행되었다. 나는 전건 A와 후건 C를 가진 반사실 조건문을 A ◻︎→C로 표현할 것이다. 이것은 “만약 A 였더라면, C였을 것이다”라고 읽을 수 있다. 1. 분석 1.1. 반사실 조건문 (이하 ‘반사실문’이라 약칭)은 고정된 엄밀 조건문이 아니다. 분석 0. A ◻︎→C은 세계 i에서 참이다 iff 모든 ___인 그런 A-세계에서 C가 성립한다. (여기서 ‘___’은 불가능하지 않은 어떤 것도 들어갈 수 있는 일반적인 빈 칸이고, ‘A-세계’는 A가 성립하는 세계를 의미한다.) 분석 0에서 빈 .. 2020. 4.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