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건문2

직설법적 조건문은 실질 조건문인가? * 일러두기: 이번 글에서 나는 직설법적 조건문에 대한 약간의 논의를 간략히 정리해보려고 한다. 여기서 나는 편의상 '직설법적 조건문'을 그냥 '조건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조건문은 직설법적 조건문과 반사실적 조건문(가정법적 조건문)으로 구분되어질 수 있다. 전자는 가령 " 만약 내가 사법 시험에 합격한다면, 나는 변호사가 될 것이다"와 같이, 전건이 참인 경우에, 후건을 받아들일 수 있는가에 대한 인식적인 문제를 포함한다. 반면에, 후자는 가령 "만약 내가 사법 시험에 합격했더라면, 나는 변호사가 되었을 것이다"와 같이, 전건이 사실에 반하는 경우에 있었을 법한 사건에 대한 문장이고, 그래서 형이상학적인 문제를 지닌 조건문이다. 에징턴에 따르면, 조건문을 이해한다는 것은 (1) 그 문장이 참이 되는 .. 2020. 7. 1.
조건문에 대한 이론 조건문은 서로 다른 두 개의 명제들로 이뤄진 어떤 함수를 하나의 명제로 표현한다. 가령, 나는 한 명제 “김제동은 (현재) 결혼을 했다”와 다른 명제 “김제동은 사회자이다” 둘다의 진리치를 안다. 전자는 거짓이고 후자는 참이다. 하지만 이 때 나는 “만약 김제동이 결혼했더라면, 김제동은 사회자이다” 같은 반사실 조건문으로 표현된 명제의 진리치에 대해서는 모를 수 있다. 이런 사실은 철학적 문제를 야기한다. 스톨네이커는 이 같은 반사실적 조건문에 대한 3 가지 문제점에 관심을 갖는다 — 1. 논리적 문제: 어떻게 조건문 함수의 형식적 속성을 기술할 것인가, 2. 화용론적 문제: 서로 다른 진리치를 판단할 때 선택 기준은 무엇인가, 3. 인식론적 문제: 경험적이면서 동시에 반사실적인 조건문은 가능한가. 어떻.. 2020. 4.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