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사실조건문2 D. 루이스, '반사실 조건문과 비교 가능성' 지난 십 수년 동안 양상성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가능 세계 의미론을 통해 증진되어 왔다. 이 프로젝트는 양상 문장이 어떤 가능 세계에서 참인 조건인지를 체계적으로 명시함으로써 양상 언어를 분석하는 것을 가지고 진행되었다. 나는 전건 A와 후건 C를 가진 반사실 조건문을 A ◻︎→C로 표현할 것이다. 이것은 “만약 A 였더라면, C였을 것이다”라고 읽을 수 있다. 1. 분석 1.1. 반사실 조건문 (이하 ‘반사실문’이라 약칭)은 고정된 엄밀 조건문이 아니다. 분석 0. A ◻︎→C은 세계 i에서 참이다 iff 모든 ___인 그런 A-세계에서 C가 성립한다. (여기서 ‘___’은 불가능하지 않은 어떤 것도 들어갈 수 있는 일반적인 빈 칸이고, ‘A-세계’는 A가 성립하는 세계를 의미한다.) 분석 0에서 빈 .. 2020. 4. 23. 조건문에 대한 이론 조건문은 서로 다른 두 개의 명제들로 이뤄진 어떤 함수를 하나의 명제로 표현한다. 가령, 나는 한 명제 “김제동은 (현재) 결혼을 했다”와 다른 명제 “김제동은 사회자이다” 둘다의 진리치를 안다. 전자는 거짓이고 후자는 참이다. 하지만 이 때 나는 “만약 김제동이 결혼했더라면, 김제동은 사회자이다” 같은 반사실 조건문으로 표현된 명제의 진리치에 대해서는 모를 수 있다. 이런 사실은 철학적 문제를 야기한다. 스톨네이커는 이 같은 반사실적 조건문에 대한 3 가지 문제점에 관심을 갖는다 — 1. 논리적 문제: 어떻게 조건문 함수의 형식적 속성을 기술할 것인가, 2. 화용론적 문제: 서로 다른 진리치를 판단할 때 선택 기준은 무엇인가, 3. 인식론적 문제: 경험적이면서 동시에 반사실적인 조건문은 가능한가. 어떻.. 2020. 4. 2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