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술어논리2

술어 논리 (2) 3. 일상 언어 문장을 술어논리 형식언어 문장으로 번역하기 ​ 자연언어는 소위 일상언어를 가리키며, 논리학에서 인공언어는 형식언어를 가리킨다. 우리는 이 장에서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에서 살펴보았던 4가지 형식의 범주 문장을 술어논리의 인공언어를 동원하여 수학적 기호로 표현할 것이다. ​ A: (∀x)(Sx ⇒ Px) ≡~(∃x)(Sx&~Px) 모든 x에 대하여, S이면 P이다. ≡ S이면서 P가 아닌 x는 없다. E:(∀x)(Sx ⇒ ~Px) ≡~(∃x)(Sx&Px) 모든 x에 대하여, x가 S이면 P가 아니다. ≡ S이면서 P인 x는 없다. I: (∃x)(Sx&Px) S이면서 P인 x가 적어도 하나 있다. O: (∃x)(Sx&~Px) S이면서 P가 아닌 x가 적어도 하나 있다. ​ 이항술어를 사용할 때.. 2023. 5. 6.
술어 논리 (1) 술어 논리는 다른 이름으로 1차 양화논리 first order quantificational logic, 또는 표준 논리 standard logic라고도 일컫는다. 1. 술어논리란? ​ 지금부터 논의될 술어 논리에서는 프레게의 3가지 혁신과 더불어 어떠한 경우에서 범주삼단논법이 혼란을 일으키는지 설명할 것이다. 아래의 유명한 논증을 보자. ​ 모든 사람은 죽는다.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 ------------------------------ 소크라테스는 죽는다. ​ 위 논증의 둘째 전제와 결론은 사실 범주 문장이 아니다. 그것은 고유 명사가 주어로 사용되는 단칭singular 문장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칸트를 비롯하여 현대논리학이 대두되기 이전의 철학자들은 위 논증을 범주논리로서 간주하려는 경향이 있었고.. 2023.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