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philosophy of language9

전면적 지시 이론 19세기 이전의 근세 철학이 주로 인식론적인 문제에 대해 관심을 가져왔다면, 19세기 말부터 철학은 논리-언어적인 것에 주로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 이유는 짐작컨대, 자연과학, 사회과학 등의 분야가 철학에서 분리됨으로써 철학의 정체성이 옅어졌기에 철학자들은 그들이 집중할 탐구 대상에 대해 재설정할 필요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철학자들에게 언어에 대한 탐구는 아래 이유들 때문에 중요했다. 1. 철학의 작업은 언어를 매개로 한다. 학문으로서의 철학은 공적으로 토론되거나 분석될 수 있는 종류의 사유여야 한다. 이러한 사유는 언어를 매개로 한다. 따라서 언어 자체에 대해 탐구하고 이해하는 것은 철학 자체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2. 철학적 작업의 많은 부분은 이미 언어에 대한 탐구이다. 플라톤의 대화편에.. 2023. 12. 29.
인간의 우주적 초라함과 삶의 의미 나는 광활한 우주 어딘가에서 티끌만한 크기로 존재한다. 나는 무한한 과거와 미래 사이의 어느 지점에서 찰나에 순간에 살고 있다. 또한, 나는 공간적으로 우주의 중심에, 지구의 중심에 서 있지 않다. 나는 무한한 시간선 상의 중심에 서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나는 언젠간 이 지구에서 필연적으로 소멸한다. 우주는 여러 물리 법칙에 따라 움직이고, 시간의 화살은 엔트로피 법칙에 따라 대부분의 경우에 과거에서 미래로 흐른다. 나는 내 삶의 목적과 의미에 대한 물음을 품는다. "내 삶의 목적은 무엇인가", "나는 왜 이 시점에 이 공간에서 어떤 목적을 갖고 살아가기 위해 태어났는가". 사색적인 누군가가 한번쯤 품어봤을 법한 질문을 내 스스로에게 던진다. 하지만 나는 어떤 만족스러운 답도 내리지 못한다... 2023. 4. 26.
프랑스의 현재 왕은 대머리이다 (기술구 이론에 대한 단상) 문장 “프랑스의 현재 왕은 대머리다”는 러셀의 한정 기술구 이론을 설명할 때 항상 등장하는 예이다. 러셀은 왜 이런 문장을 다루고 있는가? 러셀은 자신의 기술구 이론이 특정 상황에서만 적용되는 것이 아닌, 일반적인 (모든) 상황에서 적용되기를 바랬다. 하지만 기술구가 포함된 문장이 자연 언어에서 인공 언어로 분석될 때, 그 기술구가 지칭하는 대상이 (1)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2) 2 개 이상인 경우에, 러셀의 그 바램을 방해하는 문제들이 발생한다. 그 중 (1)에 해당하는 물음인 “어떻게 존재하지 않는 것을 골라내는 것처럼 보이는 한정 기술구를 이해할 수 있는가”에 러셀이 답하기 위해 제시한 한 예가 바로 이 문장 “프랑스의 현재 왕은 대머리다”이다. 이 물음에 대한 러셀의 답을 알아 보기에 앞서,.. 2020. 2. 11.
Quine의 경험주의의 두 독단 콰인은 현대 경험주의에 두 가지 독단이 있다고 생각했다. 하나는 이것이 환원주의[모든 의미있는 문장들은 경험적인 문장들로 환원될 수 있다]를 배경으로 한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논리실증주의에 따른, 분석적 참과 종합적 참 간의 구분이 그것이다. 콰인은 이 논문에서 분석 문장이 제대로 정의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분석 문장이라고 여겨지는 두 종류의 진술을 알아보자. 1) 논리적 참 문장, 2) 동의성을 치환해서 얻을 수 있는 논리적 참 문장[non-tautologous] 1) 과 같은 문장은 다음과 같은 것이다. "No unmarried man is married" 2)와 같은 문장은 이와 같은 것이다. "모든 사람은 남자가 아니거나 총각이거나 결혼했다" 1. 동의성 → 분석성 1) 문장은 그 문장 속에.. 2019. 10.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