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데이빗 루이스2

D. 루이스, '반사실 조건문과 비교 가능성' 지난 십 수년 동안 양상성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가능 세계 의미론을 통해 증진되어 왔다. 이 프로젝트는 양상 문장이 어떤 가능 세계에서 참인 조건인지를 체계적으로 명시함으로써 양상 언어를 분석하는 것을 가지고 진행되었다. 나는 전건 A와 후건 C를 가진 반사실 조건문을 A ◻︎→C로 표현할 것이다. 이것은 “만약 A 였더라면, C였을 것이다”라고 읽을 수 있다. 1. 분석 1.1. 반사실 조건문 (이하 ‘반사실문’이라 약칭)은 고정된 엄밀 조건문이 아니다. 분석 0. A ◻︎→C은 세계 i에서 참이다 iff 모든 ___인 그런 A-세계에서 C가 성립한다. (여기서 ‘___’은 불가능하지 않은 어떤 것도 들어갈 수 있는 일반적인 빈 칸이고, ‘A-세계’는 A가 성립하는 세계를 의미한다.) 분석 0에서 빈 .. 2020. 4. 23.
루이스의 '인과'를 읽고 루이스는 흄의 인과에 대한 두 번째 정의인 “만약 어떤 원인이 발생하지 않았더라면, 그것의 결과는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인 반사실 조건문 형태의 정의를 가지고 자신의 인과 이론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루이스는 그의 인과 이론을 소개하기에 앞서, 흄의 첫 번째 정의와 관련된, 오늘날의 일반적 규칙성 분석에 따른 인과 이론을 지적한다. 그 이론은 다음과 같다: “C를 는 명제라고, E를 는 명제라고 해보자. 그러면, c는 e를 야기한다 iff (1) c,e가 참이고, (2) L, F 에 대하여, (L, F가 공동으로 E를 함축하지 않고, F 홀로 C ⊃ E를 함축하지 않더라도) 그것들은 C ⊃ E를 공동으로 함축한다. ” 하지만 루이스는 일반적 규칙성 분석이 곧 인과 자체에 대한 이론에 대한 정의를 제공한.. 2020. 4.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