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및 재테크2

가구 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PIR) 분석 일지 [2] 채상욱의 를 읽고 있다. 이 책의 49page에서 2022년 국토부 장관은 아래 같이 말했다고 한다."서울의 경우 (가구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이) 18배에 이르러 금융 위기 직전 8배보다 높고, 금융위기 직후 10배보다도 지나치게 높다"위 가구소득(세전 기준) 대비 주택가격의 비율을 PIR이라고 한다. 즉, PIR = 주택가격/가구소득 이다. 예컨대, 가구소득 1억 5천만원, 주택가격이 15억인 경우에 PIR은 10이 나온다. 아래 그래프를 보자. 아래는 전체 소득분위, 전체 주택 분위에 대한 서울 주택가격의 PIR 변화 추이를 나타낸다. 2021, 2022년에 PIR이 25가 넘으며 매우 높은 수치를 기록하다가 2023년도를 기점으로 2010년도 수준을 보이며 상당히 낮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2024. 6. 8.
강남구 부동산 분석 일지 [1] 강승우의 를 읽고 있다. 2010년대 후반, 2020년 초 부동산 가격이 폭등한 이후 나 역시 부동산 투자에 관심이 많아졌다. 현재 부동산 가격은 고점보다는 약간 낮아졌지만, 금리 인하가 기대되고 있는 시점에 부동산 가격은 다시 상승할 것인지, 아니면 최근 가계부채율이 높아지고 있다고 하던데 높은 대출 금리를 간신히 버티고 있던 주택 보유자들이 물량을 던질지 예측하기 어려운 시점에 있는 것 같다.   강승수 저자는 한국 부동산 역사를 볼 때, 매매지수와 전세지수의 간격이 클 때가 집 값의 하락 신호(버블의 끝)라고 설명한다. 이 저자는 매매지수와 전세지수의 이격이 매우 클 때 투자용 부동산은 정리하라고 권장한다. 아래 최근 5년 간 강남3구 (강남/송파/서초)의 매매가격지수와 전세가격지수의 의 변동 추이.. 2024. 6.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