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Metaphysics7

조건문에 대한 이론 조건문은 서로 다른 두 개의 명제들로 이뤄진 어떤 함수를 하나의 명제로 표현한다. 가령, 나는 한 명제 “김제동은 (현재) 결혼을 했다”와 다른 명제 “김제동은 사회자이다” 둘다의 진리치를 안다. 전자는 거짓이고 후자는 참이다. 하지만 이 때 나는 “만약 김제동이 결혼했더라면, 김제동은 사회자이다” 같은 반사실 조건문으로 표현된 명제의 진리치에 대해서는 모를 수 있다. 이런 사실은 철학적 문제를 야기한다. 스톨네이커는 이 같은 반사실적 조건문에 대한 3 가지 문제점에 관심을 갖는다 — 1. 논리적 문제: 어떻게 조건문 함수의 형식적 속성을 기술할 것인가, 2. 화용론적 문제: 서로 다른 진리치를 판단할 때 선택 기준은 무엇인가, 3. 인식론적 문제: 경험적이면서 동시에 반사실적인 조건문은 가능한가. 어떻.. 2020. 4. 22.
루이스의 '인과'를 읽고 루이스는 흄의 인과에 대한 두 번째 정의인 “만약 어떤 원인이 발생하지 않았더라면, 그것의 결과는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인 반사실 조건문 형태의 정의를 가지고 자신의 인과 이론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루이스는 그의 인과 이론을 소개하기에 앞서, 흄의 첫 번째 정의와 관련된, 오늘날의 일반적 규칙성 분석에 따른 인과 이론을 지적한다. 그 이론은 다음과 같다: “C를 는 명제라고, E를 는 명제라고 해보자. 그러면, c는 e를 야기한다 iff (1) c,e가 참이고, (2) L, F 에 대하여, (L, F가 공동으로 E를 함축하지 않고, F 홀로 C ⊃ E를 함축하지 않더라도) 그것들은 C ⊃ E를 공동으로 함축한다. ” 하지만 루이스는 일반적 규칙성 분석이 곧 인과 자체에 대한 이론에 대한 정의를 제공한.. 2020. 4. 8.
수반 superveience 수반 Supervenienc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두 개의 사물이 B 속성에 대해 다르지 않고서 A 속성에 대해 다를 수 없는 경우에만, 속성 A 집합은 어느 다른 속성 B 집합을 수반한다. 즉, “B-차이 없이 A-차이는 있을 수 없다.” 이 슬로건은 다양한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기본적인 생각을 설명하기 위해, 어느 완벽한 위조범이 있다고 상상해보자. 그녀의 그림 복사본은 예술품 딜러를 속일 뿐만 아니라 실제로 모든 염료의 분자 배치에 이르기까지 원본의 완전한 복제품이다. 그녀가 엘 그레코의 의 복제품 같은 것을 만든다고 가정해보자. 물론 이것은 다양한 방식으로 원본과 다르다. 그것은 위조품이다. 그것은 엘 그레코가 그린 것이 아니고, 경매.. 2020. 3.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