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9

머신러닝을 이용한 블록체인 상에서의 부정거래 탐지 1. 들어가며 최근 세간의 블록체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머신러닝 분야에서도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블록체인 분야에 머신러닝을 접목한 분야로는 부정거래 탐지 시스템(Fraud Detection System, FDS), 가상자산 가격 예측, 거래소 주소 식별, NFT 공정가 예측 등이 있는데 이들 중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분야는 FDS일 것이다. 실제로, 악의적인 의도를 가진 많은 스캐머는 블록체인의 익명성을 악용하여 비트코인, 이더리움을 통해 폰지 사기, 스캠 사기, 자금 세탁 등을 자행하고 있다. 미국의 블록체인 데이터분석 업체인 Chainalysis에 따르면 [5], 2021년도에 가상자산을 통한 스캠 범죄 피해액은 약 80억 달러에 달한다고 한다. 이는 전년도인 202.. 2022. 12. 12.
직설법적 조건문은 실질 조건문인가? * 일러두기: 이번 글에서 나는 직설법적 조건문에 대한 약간의 논의를 간략히 정리해보려고 한다. 여기서 나는 편의상 '직설법적 조건문'을 그냥 '조건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조건문은 직설법적 조건문과 반사실적 조건문(가정법적 조건문)으로 구분되어질 수 있다. 전자는 가령 " 만약 내가 사법 시험에 합격한다면, 나는 변호사가 될 것이다"와 같이, 전건이 참인 경우에, 후건을 받아들일 수 있는가에 대한 인식적인 문제를 포함한다. 반면에, 후자는 가령 "만약 내가 사법 시험에 합격했더라면, 나는 변호사가 되었을 것이다"와 같이, 전건이 사실에 반하는 경우에 있었을 법한 사건에 대한 문장이고, 그래서 형이상학적인 문제를 지닌 조건문이다. 에징턴에 따르면, 조건문을 이해한다는 것은 (1) 그 문장이 참이 되는 .. 2020. 7. 1.
1장. 논리학이란 무엇인가 1장. 논리학이란 무엇인가 1.1 논리적 귀결과 논리적 참 논리학은 논리적 귀결을 가장 중점적으로 다룬다. “어떤 사람은 남자다”는 “그랜트는 남자다”의 논리적 귀결이 다. 만약 그랜트가 남자라면, “누군가는 남자다”가 논리적으로 따라 나온다. 즉, “그랜트는 남자다”는 “누군가 는 남자다”를 논리적으로 함축한다. 논리적 귀결은 그 형식 때문에 진리-보존적인 것이다. 가령, a는 b의 논리적 귀결이라고 할 때, 이것은 만약 b 라면 a가 참인 것인데, 이 사실을 우리 모두가 아는 것이 아니다. 심지어 우리 모두가 이것을 안다고 해도 이것 은 논리적 귀결이 아니다. 다음 논증은 그 형식 때문에 타당한 논증이다: A & B, ~A ᅣ B. 우리가 이 식의 A, B에 어떤 것을 집.. 2020. 5. 19.
(D.Lewis) 반사실 의존과 시간의 화살 오늘 나는 내 노트 위에 글을 쓰고 있다. 오늘이 달랐다고 가정해보자. 내가 지금과는 다른 글을 쓰고 있었다고 가정해보자. 그러면, 분명히 내일도 달랐을 것이다. 가령, 내 노트에는 다른 글이 써 있을 것이다. 어제도 달랐을까? 만약 그렇다면, 어떻게 달랐을까? 당신이 이 물음에 답하려 한다면, 아마 당신은 무언가를 떠올릴 것이다. 하지만 나는 당신이 어제가 분명히 어땠을지에 대해 말할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미래 상황은 현재 상황에 반사실적으로 의존한다. 만약 현재가 달랐더라면, 미래도 다르다. 유사하게, 현재 상황은 과거 상황에 반사실적으로 의존한다. 일반적으로, 나중 상황은 이전 상황에 반사실적으로 의존한다. 하지만 그 반대는 불가능하다. 우리는 어떻게 현재가 다소 달랐더라면 과거가 다른지에 .. 2020. 5.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