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9

술어 논리 (1) 술어 논리는 다른 이름으로 1차 양화논리 first order quantificational logic, 또는 표준 논리 standard logic라고도 일컫는다. 1. 술어논리란? ​ 지금부터 논의될 술어 논리에서는 프레게의 3가지 혁신과 더불어 어떠한 경우에서 범주삼단논법이 혼란을 일으키는지 설명할 것이다. 아래의 유명한 논증을 보자. ​ 모든 사람은 죽는다. 소크라테스는 사람이다. ------------------------------ 소크라테스는 죽는다. ​ 위 논증의 둘째 전제와 결론은 사실 범주 문장이 아니다. 그것은 고유 명사가 주어로 사용되는 단칭singular 문장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칸트를 비롯하여 현대논리학이 대두되기 이전의 철학자들은 위 논증을 범주논리로서 간주하려는 경향이 있었고.. 2023. 5. 6.
명제논리 (2) 구문론syntactics은 언어 자체에 관심을 가진다. 가령, 문법이 그것이다. 의미론semantics은 언어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에 관심을 가진다. 다시 말해 언어가 의미하는 바를 연구한다. ​3. 타당성과 비일관성​ 타당성은 비일관성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진다. 문장들의 집합 S가 비일관적이다라는 말은 iff 문장들의 집합 S의 원소들인 문장들이 모두 함께 참일 수 없다는 것을 뜻한다. 다시 말해 S의 원소들인 문장들이 모두 함께 참이 되는 논리적 가능상황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 그렇다면 집합에 문장A 단 하나만 들어있는 경우는 어떠한가? 문장 A가 참인 논리적 가능상황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그리고 그러한 경우에만 문장 A는 비일관적이다. 이 때 문장A는 모순문장이다. 반면에 어떠한 진리치.. 2023. 5. 6.
명제 논리 (1) 1. 명제 논리 (propositional logic) ​1.1 진리함수적 연결사 truth-functional connective ​ 명제논리는 진리함수적 연결사(&,v,~,->) 를 논리적 상항으로 간주하는 논리체계이다. 명제논리에서 타당하다는 것은 진리함수적 연결사에 의해 표현된 타당한 논증형식의 대입예인 셈이다. 즉, 진리함수적 연결사의 의미 때문에 논증형식은 전제들이 모두 참이면서 결론이 거짓인 대입예를 갖지 않는다. 여기서 진리함수적 연결사의 의미는 연결사 x라는 표현이 수행하는 역할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보자. P 이거나 Q. Q는 사실이 아니다. ------------------------ P. 이 논증형식은 진리함수적 연결사인 OR, AND, NOT의 논리적 역할 또는 의미 때문에 타.. 2023. 5. 6.
인간의 우주적 초라함과 삶의 의미 나는 광활한 우주 어딘가에서 티끌만한 크기로 존재한다. 나는 무한한 과거와 미래 사이의 어느 지점에서 찰나에 순간에 살고 있다. 또한, 나는 공간적으로 우주의 중심에, 지구의 중심에 서 있지 않다. 나는 무한한 시간선 상의 중심에 서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나는 언젠간 이 지구에서 필연적으로 소멸한다. 우주는 여러 물리 법칙에 따라 움직이고, 시간의 화살은 엔트로피 법칙에 따라 대부분의 경우에 과거에서 미래로 흐른다. 나는 내 삶의 목적과 의미에 대한 물음을 품는다. "내 삶의 목적은 무엇인가", "나는 왜 이 시점에 이 공간에서 어떤 목적을 갖고 살아가기 위해 태어났는가". 사색적인 누군가가 한번쯤 품어봤을 법한 질문을 내 스스로에게 던진다. 하지만 나는 어떤 만족스러운 답도 내리지 못한다... 2023. 4.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