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9

수반 superveience 수반 Supervenienc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두 개의 사물이 B 속성에 대해 다르지 않고서 A 속성에 대해 다를 수 없는 경우에만, 속성 A 집합은 어느 다른 속성 B 집합을 수반한다. 즉, “B-차이 없이 A-차이는 있을 수 없다.” 이 슬로건은 다양한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기본적인 생각을 설명하기 위해, 어느 완벽한 위조범이 있다고 상상해보자. 그녀의 그림 복사본은 예술품 딜러를 속일 뿐만 아니라 실제로 모든 염료의 분자 배치에 이르기까지 원본의 완전한 복제품이다. 그녀가 엘 그레코의 의 복제품 같은 것을 만든다고 가정해보자. 물론 이것은 다양한 방식으로 원본과 다르다. 그것은 위조품이다. 그것은 엘 그레코가 그린 것이 아니고, 경매.. 2020. 3. 17.
표현의 자유 요즘 "저 자가 잘못했네", "네 말은 틀렸네" 등과 같은 말이 난무하는 것 같다. 심지어 이렇게 상대방을 비난하거나 그의 의견을 무시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일부 인플루언서들의 의견은 삭제되기도 하는 것 같다. 존 밀이 에서 표현의 자유와 관련하여 주장하는 바는 그런 자유를 보장하는 것은 진리 발견을 위해, 사회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는 것이다. 존 밀에 따르면, 상대방의 말이 틀림을 증명함으로써 내 의견이 옳다는 내 믿음은 강화되고, 상대방의 의견이 옳다면 나는 올바른 앎을 얻게 된다. 누군가가 넓은 범위의 표현의 자유로 인해 해를 입지 않는 한, 표현의 자유를 억압할 필요는 없지 않을까? "전체 인류 가운데 단 한 사람이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그 사람에게 침묵을 강요하는 일은 옳지 못하다... 2020. 2. 23.
프랑스의 현재 왕은 대머리이다 (기술구 이론에 대한 단상) 문장 “프랑스의 현재 왕은 대머리다”는 러셀의 한정 기술구 이론을 설명할 때 항상 등장하는 예이다. 러셀은 왜 이런 문장을 다루고 있는가? 러셀은 자신의 기술구 이론이 특정 상황에서만 적용되는 것이 아닌, 일반적인 (모든) 상황에서 적용되기를 바랬다. 하지만 기술구가 포함된 문장이 자연 언어에서 인공 언어로 분석될 때, 그 기술구가 지칭하는 대상이 (1)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2) 2 개 이상인 경우에, 러셀의 그 바램을 방해하는 문제들이 발생한다. 그 중 (1)에 해당하는 물음인 “어떻게 존재하지 않는 것을 골라내는 것처럼 보이는 한정 기술구를 이해할 수 있는가”에 러셀이 답하기 위해 제시한 한 예가 바로 이 문장 “프랑스의 현재 왕은 대머리다”이다. 이 물음에 대한 러셀의 답을 알아 보기에 앞서,.. 2020. 2. 11.
Quine의 경험주의의 두 독단 콰인은 현대 경험주의에 두 가지 독단이 있다고 생각했다. 하나는 이것이 환원주의[모든 의미있는 문장들은 경험적인 문장들로 환원될 수 있다]를 배경으로 한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논리실증주의에 따른, 분석적 참과 종합적 참 간의 구분이 그것이다. 콰인은 이 논문에서 분석 문장이 제대로 정의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분석 문장이라고 여겨지는 두 종류의 진술을 알아보자. 1) 논리적 참 문장, 2) 동의성을 치환해서 얻을 수 있는 논리적 참 문장[non-tautologous] 1) 과 같은 문장은 다음과 같은 것이다. "No unmarried man is married" 2)와 같은 문장은 이와 같은 것이다. "모든 사람은 남자가 아니거나 총각이거나 결혼했다" 1. 동의성 → 분석성 1) 문장은 그 문장 속에.. 2019. 10.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