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9

분석/종합 구분 1) 분석적/ 종합적 구분 (1) Analytic: 모든 총각은 미혼이다 (2) Synthetic: 이 방 안의 모든 학생은 결혼하지 않았다 (참이라고 가정) (1)의 경우의 진리치는 경험적 조사를 필요로 하지 않는데, (2)의 문장은 진리치를 알기 위해 경험적 조사를 필요로 한다. A) kant의 분석/종합 구분 칸트의 구분은 위의 구분의 고전적인 버젼이다. 칸트는 판단을 분석적 판단, 종합적 판단으로 구분했는데, 이 때의 기준은 이것이다. "분석 판단"이란 술어 개념이 주어 개념에 포함되어 있는 그런 판단이다. 어떤 반대자는 이것에 대하여 심리적인 것에 호소하고 있다고 하였지만, 칸트가 꼭 이것을 염두하고 있었다고 봐야 할 이유는 없는 것 같다. (DEF) 어떤 문장이 분석적이다 iff 문법적 술어의.. 2019. 10. 1.
문장과 명제 1. 문장과 명제의 차이(서술문만이 명제에 대응한다를 전제) 문장은 형태를 갖는 구체적 존재자인 반면, 명제는 시공간 속에 위치하지 않은 추상적 존재자이다. '달은 둥글다'라는 문장은 'ㄷ' +'ㅏ'+'ㄹ'+'ㅇ'+'ㅡ'+'ㄴ' ... 등 한 획, 한 획의 선들과 곡선들로 이루어진 글자들의 모임인 반면, 명제는 문장의 내포이고, 추상적 존재자이다. 우리는 이런 존재를 받아들여야 하는지에 대해 문제를 삼을 수 있을 것 같다. 이것은 우리에게 존재론적 부담을 주는 것 같다. 2. 여러 유형의 문장들 1) 인지적 의미(참, 거짓을 가질 수 있으면 인지적 의미를 갖는다)를 갖지 않는 문장 '이빨'이라고 이야기할 때와 '치아'라고 이야기할 때, 우리는 그것을 갖고 있는 문장 간의 진리치 차이는 없어 보인다. 즉,.. 2019. 10. 1.
<On sense and reference>, Frege 동일성Equality은 결코 쉽게 답할 수 없는 어려운 문제를 야기한다. 관계란 무엇인가? 대상들의 관계란 무엇인가? 이름 또는 대상의 기호들의 관계란 무엇인가? 프레게는 자신의 안에서, 동일성을 대상의 이름들 간의 관계라고 가정했다. 왜냐하면, a=a와 a=b는 분명히 다른 인식적 가치에 대한 진술이기 때문이다. a=a는 칸트에 따르면 선험적으로 성립하고, 분석적이라고 여겨진다. 하지만, a=b는 종종 매우 귀중한 우리 지식의 확장을 포함하고 항상 선험적으로 성립할 수 없다. 오늘날 조차도 작은 행성 또는 혜성에 대한 동일성identification은 항상 당연한 문제가 아니다. 이제 만약 우리가 동일성을 이름 ‘a’와 이름 ‘b’가 지칭하는 것 간의 관계라고 간주한다면, a=b와 a=a는 ─ 즉, a.. 2019. 10. 1.
지시와 의미, 사용과 언급 1. 지시와 의미 1) 언어 표현과 지시 대상 최고가 되겠다는 다짐을 하는 사람은 훌륭해 보인다. 어릴 적 자주 봤던 만화 의 주인공 루피는 종종 "나는 해적왕이 될거야"라는 말을 한다. 이 때, 그 말은 무엇을 지칭(지시)하는 것일까? 그리고 우리는 글 속에서 어떻게 지칭 관계를 표현해야 할까? 해적왕과 '해적왕'의 차이는 무엇인가? (여기서 지칭/지시에 대한 엄밀한 구분은 하지 않겠다) 에서 주인공인 루피는 "나는 해적왕이 될거야"라고 자주 말한다. 여기서 과 을 구분해보자. 루피가 위 말을 할 때 해적왕이 지칭하는 것은 "미래 시점에 존재할 아직 누군지 모르는 누군가"이고, 그가 그 말을 발화할 때 해적왕이 지칭하는 것은 그 시점의 해적왕인 "흰수염"일 것이다. 나는 지금 ' '의 유무에 대한 구분.. 2019. 1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