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22

명제 논리 (1) 1. 명제 논리 (propositional logic) ​1.1 진리함수적 연결사 truth-functional connective ​ 명제논리는 진리함수적 연결사(&,v,~,->) 를 논리적 상항으로 간주하는 논리체계이다. 명제논리에서 타당하다는 것은 진리함수적 연결사에 의해 표현된 타당한 논증형식의 대입예인 셈이다. 즉, 진리함수적 연결사의 의미 때문에 논증형식은 전제들이 모두 참이면서 결론이 거짓인 대입예를 갖지 않는다. 여기서 진리함수적 연결사의 의미는 연결사 x라는 표현이 수행하는 역할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보자. P 이거나 Q. Q는 사실이 아니다. ------------------------ P. 이 논증형식은 진리함수적 연결사인 OR, AND, NOT의 논리적 역할 또는 의미 때문에 타.. 2023. 5. 6.
인간의 우주적 초라함과 삶의 의미 나는 광활한 우주 어딘가에서 티끌만한 크기로 존재한다. 나는 무한한 과거와 미래 사이의 어느 지점에서 찰나에 순간에 살고 있다. 또한, 나는 공간적으로 우주의 중심에, 지구의 중심에 서 있지 않다. 나는 무한한 시간선 상의 중심에 서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나는 언젠간 이 지구에서 필연적으로 소멸한다. 우주는 여러 물리 법칙에 따라 움직이고, 시간의 화살은 엔트로피 법칙에 따라 대부분의 경우에 과거에서 미래로 흐른다. 나는 내 삶의 목적과 의미에 대한 물음을 품는다. "내 삶의 목적은 무엇인가", "나는 왜 이 시점에 이 공간에서 어떤 목적을 갖고 살아가기 위해 태어났는가". 사색적인 누군가가 한번쯤 품어봤을 법한 질문을 내 스스로에게 던진다. 하지만 나는 어떤 만족스러운 답도 내리지 못한다... 2023. 4. 26.
직설법적 조건문은 실질 조건문인가? * 일러두기: 이번 글에서 나는 직설법적 조건문에 대한 약간의 논의를 간략히 정리해보려고 한다. 여기서 나는 편의상 '직설법적 조건문'을 그냥 '조건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조건문은 직설법적 조건문과 반사실적 조건문(가정법적 조건문)으로 구분되어질 수 있다. 전자는 가령 " 만약 내가 사법 시험에 합격한다면, 나는 변호사가 될 것이다"와 같이, 전건이 참인 경우에, 후건을 받아들일 수 있는가에 대한 인식적인 문제를 포함한다. 반면에, 후자는 가령 "만약 내가 사법 시험에 합격했더라면, 나는 변호사가 되었을 것이다"와 같이, 전건이 사실에 반하는 경우에 있었을 법한 사건에 대한 문장이고, 그래서 형이상학적인 문제를 지닌 조건문이다. 에징턴에 따르면, 조건문을 이해한다는 것은 (1) 그 문장이 참이 되는 .. 2020. 7. 1.
1장. 논리학이란 무엇인가 1장. 논리학이란 무엇인가 1.1 논리적 귀결과 논리적 참 논리학은 논리적 귀결을 가장 중점적으로 다룬다. “어떤 사람은 남자다”는 “그랜트는 남자다”의 논리적 귀결이 다. 만약 그랜트가 남자라면, “누군가는 남자다”가 논리적으로 따라 나온다. 즉, “그랜트는 남자다”는 “누군가 는 남자다”를 논리적으로 함축한다. 논리적 귀결은 그 형식 때문에 진리-보존적인 것이다. 가령, a는 b의 논리적 귀결이라고 할 때, 이것은 만약 b 라면 a가 참인 것인데, 이 사실을 우리 모두가 아는 것이 아니다. 심지어 우리 모두가 이것을 안다고 해도 이것 은 논리적 귀결이 아니다. 다음 논증은 그 형식 때문에 타당한 논증이다: A & B, ~A ᅣ B. 우리가 이 식의 A, B에 어떤 것을 집.. 2020. 5. 19.